1. 데이터 입력과 출력
- R에서는 텍스트 데이터 뿐만 아니라 데이터베이스와 다양한 통계프로그램에서 작성된 데이터를 불러들여서 적절한 데이터 분석을 수행할 수 있음
- R에서는 부동소수점 표현시 7자리 수를 기본으로 셋팅되어 있으며 option()함수, digit = 숫자를 지정해서 자릿수를 변경할 수 있음
- 문자열을 파일로 저장하고자 할 때 : cat('저장할 문자열', file = '파일명')
- R에서는 역슬래쉬를 인식하지 못하므로 슬래쉬 또는 이중 역슬래쉬로 파일의 경로를 지정
2. 외부 파일 입력과 출력
- 고정자리 변수 파일 read.fwf('파일명', width = c(w1, s2, ...))
- 구분자 변수 파일 read.table('파일명', sep = '구분자')
- csv 파일 읽기 read.csv('파일명', header = T) #1행이 변수인 경우 : header = T
- csv 파일 출력 write.csv(데이터 프레임, '파일명')
3. 웹페이지(web page)에서 데이터 읽어오기
- 파일 다운로드 read.csv(http://www. )
- ftp에서 파일 다운로드 read.csv(ftp://ftp. )
- html에서 테이블 readHTMLTable('url')
'ADsP > 3과목' 카테고리의 다른 글
2장_5절 데이터 구조와 데이터프레임 2-1 (0) | 2022.02.10 |
---|---|
2장_4절 데이터 구조와 데이터프레임1 (0) | 2022.02.10 |
2장_2절 R기초3 (0) | 2022.02.10 |
2장_2절 R기초2 (0) | 2022.02.10 |
2장_2절 R기초1 (0) | 2022.02.10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