1장_1절 분석 기획 방향성 도출
1. 분석 기획의 특징
1) 분석 기획 : 실제 분석을 수행하기에 앞서 분석을 수행할 과제를 정의하고, 의도했던 결과를 도출할 수 있도록 이를 적절하게 관리할 수 있는 방안을 사전에 계획하는 일련의 작업
2) 데이터 사이언티스의 역량 : 수학/통계학적 지식, 정보기술(IT기술, 해킹 기술, 통신 기술 등), 비지니스에 대한 이해와 전문성
2. 분석 대상과 방법
분석은 분석의 대상(what)과 분석의 방법(how)에 따라서 4가지로 분류할 수 있다
- optimization - 분석대상 known, 분석방법 known
- insight - 분석대상 unknown, 분석방법 known
- solution - 분석대상 known, 분석방법 unknwon
- discovery - 분석대상 unknown, 분석방법 unknown
3. 목표 시점별 분석기획 방안
- 당면한 분석주제의 해결(과제 단위)
1차 목표 : speed&test
과제의 유형 : quick-win
접근방식 : problem solving
- 지속적 분석 문화 내재화(마스터 플랜 단위)
1차 목표 : accuracy&deploy
과제의 유형 : long term view
접근방식 : problem definition
4. 분석 기획 시 고려사항
- 분석의 기본인 가용 데이터(available data)에 대한 고려가 필요
- 분석을 통해 가치가 창출될 수 있는 적절한 활용방안과 유즈케이스(proper business use case) 탐색이 필요
- 분석 수행시 발생할 수 있는 장애요소들에 대한 사전계획 수립이 필요(low barrier of execution)
#정형 데이터
- 데이터 자체로 분석 가능
- RDB 구조의 데이터
- 데이터베이스로 관리
- ERP, CRM, SCM 등 정보시스템
#반정형 데이터
- 데이터로 분석이 가능하지만 해석이 불가능하며 메타정보를 활용해야 해석이 가능
- 로그데이터, 모바일데이터, 센싱데이터
#비정형 데이터
- 데이터 자체로 분석이 불가능
- 특정한 처리 프로세스를 거쳐 분석 데이터로 변경 후 분석
- 영상, 음성, 문자 등